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테스트코드
- context switching
- 글또
- algorithm
- execution context
- 자바
- Python
- codestates
- REACT
- Computer Science
- 알고리즘
- 자바스크립트
- java
- Operating System
- OS
- react 기초
- 프로그래머스
- 코드스테이츠
- 운영체제
- 비동기
- useState
- node.js
- 개발공부
- Zerobase
- 파이썬
- 자료구조
- 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
- 컴퓨터공학
- JavaScript
- python algorithm
- Today
- Total
목록개발공부 (2)
Back to the Basics

이번 포스팅은 Node.js란 무엇이고 모듈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공부한 내용에 대한 정리 포스팅이다. 1. Node.js란?? Node.js 의 정의 Node.js는 로컬 환경에서 JavaScript를 실행할 수 있는 자바스크립트 런타임이다. 런타임이란? Wikipedia에 따르면 , "In computer science, runtime, run time, or execution time is the final phase of a computer program's life cycle, in which theon the computer's central processing unit as machine code." 이라고 한다. 간단하게 해석을 해보면 CPU에서 기계어 코드가 실행되고 있는 단계하고 보면..

다음에 또 개발환경 구축을 해야 할 경우를 대비하여, 기록하기로 하였다. MAX HDD --> SDD로 업그레이드 하고 나서 기존에 설정해둔 개발환경이 리셋되어 다시 설치하게 되었다. [ 개발환경 설치하기 1 ]Brew 설치부터 git 설치까지 진행해 보기로 한다. 1. Brew 설치하기 이 사이츠트를 참고하면 설명이 나와있다 Brew 위의 사이틍에 나와있겠지만, Brew란 Apple 또는 linux 에서 제공하지 않는 패키지를 관리해준다. 설치는 터미널에 /bin/bash -c "$(curl -fsSL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Homebrew/install/HEAD/install.sh)" 를 복붙하여 실행하면 설치를 진행한다! 위의 명령어를 실행시키면, 아래와 같이 ..